윌리엄 로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로드는 1573년에 태어나 1645년에 처형된 영국의 성직자이다.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성공회 사제로 서품된 후 찰스 1세 치하에서 캔터베리 대주교를 역임했다. 로드는 성공회 예배 형식을 통일하고 청교도들을 탄압하는 등 종교 정책을 주도했으나, 이는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켰다. 그는 왕권신수설을 지지하며 찰스 1세의 친정을 도왔지만, 스코틀랜드의 반란과 장기 의회의 탄핵으로 런던 탑에 투옥되었다. 이후 사형 선고를 받고 처형되었으며, 잉글랜드 내전 발발의 원인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들리 도서관 - 고프 지도
고프 지도는 14세기 후반에서 15세기 초반에 제작된 중세 영국 지도로, 지리적 정확성을 추구하여 잉글랜드와 웨일스 지역을 상세히 묘사하고 경로 및 거리 정보를 담고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 보들리 도서관 - 셀던 지도
셀던 지도는 17세기 존 셀던의 유언에 따라 보들리 도서관에 기증된 지도로, 조선, 일본, 명나라, 동남아시아 지역을 포함하며, 동아시아 해상 무역의 교류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런던탑에서 사형된 사람 - 토머스 모어
토머스 모어는 잉글랜드의 법률가, 사상가, 정치가이자 인문주의자로 헨리 8세 시대에 대법관을 지냈으나 종교 개혁과 이혼에 반대하여 처형되었고, 《유토피아》를 통해 이상 사회를 묘사하여 '유토피아 사회주의'의 시조로 여겨지며 가톨릭과 성공회에서 성인으로 추대된다. - 런던탑에서 사형된 사람 - 캐서린 하워드
헨리 8세의 다섯 번째 왕비 캐서린 하워드는 자유분방한 성격과 과거 행실, 간통 혐의로 런던탑에서 참수당한 잉글랜드 귀족 여성으로, 그녀의 삶은 권력 다툼과 여성의 불안정한 지위를 보여주는 비극적인 사례이며 초상화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존스 칼리지 동문 - 토니 블레어
토니 블레어는 1997년부터 2007년까지 영국 총리를 지낸 노동당 정치인으로, '제3의 길' 노선을 추구하며 북아일랜드 평화 협정 체결에 기여했으나 아프가니스탄 및 이라크 전쟁 참전 결정으로 논란을 겪었고 퇴임 후 국제적인 활동과 자선 활동을 이어가며 경제적 성공과 사회 개혁, 이라크 전쟁 책임에 대한 복잡한 평가를 받고 있다. -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존스 칼리지 동문 - 딘 러스크
딘 러스크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케네디 및 존슨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역임하며 쿠바 미사일 위기 외교적 해결 지지, 베트남 전쟁 미국 군사 개입 확대 옹호 등의 활동을 했다.
| 윌리엄 로드 | |
|---|---|
| 기본 정보 | |
![]() | |
| 직함 | 캔터베리 대주교 |
| 재임 기간 | 1633년 – 1645년 |
| 이전 | 조지 애벗 |
| 이후 | 윌리엄 적슨 |
| 출생일 | 1573년 10월 7일 |
| 출생지 | 버크셔주레딩 , 잉글랜드 |
| 사망일 | 1645년 1월 10일 |
| 사망지 | 런던타워 힐 , 잉글랜드 |
| 매장지 |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 존스 칼리지 |
| 기념일 | 1월 10일 |
| 숭배 교파 | 성공회 |
| 직책 | |
| 유형 | 주교 |
| 교회 | 잉글랜드 교회 |
| 교구 | 캔터베리 |
| 서품 및 성별 | |
| 서품 | 1601년 4월 5일 |
| 축성 | 1621년 11월 18일 |
| 축성자 | 조지 몽테뉴 |
| 교육 | |
| 교육 기관 | 레딩 스쿨 |
| 모교 |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 존스 칼리지 |
| 기타 정보 | |
| 존칭 접두사 | 가장 존경하는 그리고 존경하는 |
![]() | |
2. 생애
1573년 10월 7일 잉글랜드 버크셔 레딩에서 직물업자의 아들로 태어난 윌리엄 로드는[1] 그래머 스쿨을 거쳐 1589년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 존스 칼리지에 입학하여 존 버커리지의 지도를 받았다.[16] 1594년 학사, 1598년 석사, 1608년 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16] 칼뱅주의에 반대하여 대학에서 "가톨릭 경향, 잘난 체하고 독단적인 인물"이라는 평판을 받았다.[16][17][18]
1601년 성공회 사제 서품을 받은 후,[18] 리처드 네일의 후원으로 성직 경력을 쌓아 1610년 국왕의 예배당 부속 사제가 되었고,[21] 1616년 글로스터 수석 사제,[21] 1621년 세인트 데이비즈 주교로 임명되었다.[21] 1622년부터 버킹엄 공작 조지 빌리어스의 종교 고문으로 활동하며,[21] 찰스 1세의 총애를 받아 1626년 바스 앤드 웰스 주교,[24] 1628년 런던 주교를 거쳐[24] 1633년 캔터베리 대주교에 임명되었다.[24]
로드는 찰스 1세의 종교 정책을 주도하며 왕권신수설을 지지하고 성공회 예배 형식을 통일하려 했다. 성공회 기도서 준수, 예배 통일, 성직자 통제를 강화하고,[33] 청교도를 탄압하며 고등재판소와 성실청을 통해 반대파를 억압했다.[34]
1633년 캔터베리 대주교 취임 후, 외교와 재정에도 관여하며 권력을 강화했다. 경제 통제, 인클로저 금지, 독점권 유지, 빈민 구제 등을 추진했지만, 관리 통제에 유리한 군주제를 옹호하고 귀족제와 의회를 경시하는 태도는 반발을 샀다. 아르미니우스주의자 등용은 가톨릭 음모 의혹을 일으켜 국교회에서 배제된 칼뱅주의자들이 청교도에 합류하는 결과를 낳았다.[28]
로드는 청교도 탄압에 앞장섰으며, 1637년 찰스 1세가 스코틀랜드에 성공회 기도서 사용을 강요하자 1638년 스코틀랜드에서 반란이 일어났다.[34]
1640년 장기 의회는 로드를 반역죄로 고발했고, 1641년 대고발서에서 그의 투옥을 요구했다.[11] 런던 탑에 투옥된 로드는 1644년 재판을 받았으나 평결 없이 끝났다. 의회는 로드 대주교를 살려두면 왕당파가 국회를 탄압할 것을 우려해 처형을 결정, 결국 사권 박탈법에 따라 1645년 1월 10일 타워 힐에서 참수되었다.[12]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573년 10월 7일 잉글랜드 버크셔 레딩에서 직물업자 윌리엄 로드와 루시 부부의 아들로 태어났다.[1] 그래머 스쿨에서 교육받은 후, 1589년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 존스 칼리지에 입학하여 존 버커리지의 지도를 받았다.[16] 1594년 학사, 1598년 석사, 1608년 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6] 버커리지의 영향으로 칼뱅주의에 반대하여 대학에서 위험인물로 여겨졌으며,[16] "가톨릭 경향, 잘난 체하고 독단적인 인물"이라는 평판을 받았다.[16][17][18]2. 2. 성직자 경력
1601년 성공회 사제 서품을 받았다.[18] 리처드 네일의 후원으로 성직 경력을 쌓았다. 1608년 네일의 보좌를 맡았고,[21] 1610년에는 네일의 추천으로 국왕의 예배당 부속 사제가 되었다.[21] 1616년 글로스터 수석 사제,[21] 1621년 세인트 데이비즈 주교로 임명되었다.[21]1622년부터 버킹엄 공작 조지 빌리어스의 종교 고문으로 활동했다.[21] 찰스 1세의 총애를 받아 고위 성직자로 승진했다. 1626년 바스 앤드 웰스 주교,[24] 1628년 런던 주교,[24] 1633년 캔터베리 대주교로 임명되었다.[24]
2. 3. 찰스 1세 치하의 종교 정책
찰스 1세의 종교 정책을 주도하며, 왕권신수설을 지지하고 성공회 예배 형식을 통일하려 했다. 성공회 기도서 준수, 감사성찬례 형식 통일, 성직자 통제 정책을 추진했다.[33] 청교도들을 탄압하고, 고등재판소와 성실청(Star Chamber)이라는 법정을 통해 반대파를 억압했다.[34] 청교도들은 로드의 정책을 로마 가톨릭 강요로 간주하여 반발했다.윌리엄 로드는 잉글랜드 국교회의 개혁과 종교 통일을 지론으로, 찰스 1세의 허가를 받아 기도서 준수와 예배 통일, 성직자 통제 정책을 추진했다. 또한 세속 문제에 대한 성직자의 적극적인 관여를 추진하고, 그 견해 준수를 국민에게 지시했다. 이에 격렬하게 저항한 퓨리턴들은 고등 종무관 재판소나 스타체임버를 무대로 철저한 탄압을 받았다.[25][26]
1633년 캔터베리 대주교에 취임하여 종교의 정점에 섰고, 1635년 외무 회의와 대장 위원회 참가로 외교와 재정에도 개입하여 권력을 증대시켰다. 경제를 통제하려 하고 위반자 단속과 인클로저 금지, 독점권의 지속과 빈민 구제를 추진했다. 정치에서도 관리 통제에 유리한 군주제를 존중하는 반면, 귀족제와 의회를 경시했다. 아르미니우스주의자 등용은 가톨릭 음모 의혹을 불러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그들에 의해 국교회에서 배제된 칼뱅주의자를 퓨리턴에 합류시켜 더욱 반대파가 강화되었다. 로드와 정부를 팸플릿으로 풍자한 윌리엄 프린에 대한 잔혹한 형벌도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더욱 로드에 대한 반감이 쌓여갔다.[28]
한편, 로드는 궁정에 가톨릭이 들어와 있는 것도 문제시했지만, 왕비 앙리에타 마리아 오브 프랑스가 가톨릭이고 궁정에도 가톨릭 신자들이 넘쳐나는 상황에서는 단속할 수 없어 중단되었다. 퓨리턴도 해외에서 거처를 찾아 네덜란드, 북아메리카의 뉴잉글랜드·매사추세츠 만 식민지로 망명하는 자들이 속출했다.[29]
2. 4. 청교도 탄압과 반발
1633년 캔터베리 대주교에 임명된 윌리엄 로드는 청교도를 가혹하게 탄압했다. 청교도들은 코나 귀가 잘리고 채찍질을 당했으며, 얼굴에 'SS'(선동 유포자)라는 낙인이 찍히는 형벌을 받았다.[33] 이러한 탄압 때문에 1629년과 1640년 사이 약 2만 명의 청교도가 아메리카 뉴잉글랜드로 이주했다.[34]1637년 찰스 1세가 영국 성공회의 기도서를 스코틀랜드 장로교 예배 때 사용할 것을 강요하자, 1638년 스코틀랜드에서 반란이 일어났다.[34]
2. 5. 몰락과 처형
1640년 장기 의회는 윌리엄 로드를 반역죄로 고발했고, 1641년 대고발서에서 그의 투옥을 요구했다.[11] 로드는 런던 탑에 투옥되었고, 잉글랜드 내전 초기에도 그곳에 머물렀다. 윌리엄 프린과 같은 개인적인 적들을 제외하고는, 의회는 로드를 상대로 재판을 진행하려는 열의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그의 나이(1641년에 68세)를 고려할 때, 대부분의 의원들은 그가 자연사하도록 내버려 두는 것을 선호했을 것이다.1644년 봄에 로드에 대한 재판이 시작되었지만 평결 없이 끝났다. 스트래퍼드 백작과 마찬가지로, 반역죄로 간주될 만한 구체적인 행동을 지적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의회는 로드 대주교를 살려 두면 왕당파들이 국회를 탄압할 것을 우려해 처형을 결정하였다.
의회는 이 문제를 다시 제기했고, 결국 사권 박탈법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로드는 1645년 1월 10일 타워 힐에서 참수되었다. 이는 국왕 찰스 1세의 사면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졌다.[12] 로드는 그의 모교인 세인트 존스 칼리지, 옥스퍼드 예배당에 묻혔다.
3. 유산과 평가
윌리엄 로드는 성공회에서 1월 10일에 기념된다.[13][14] 1847년과 1860년 사이에 그의 전집 7권이 ''앵글로-가톨릭 신학 도서관''에서 출판되었다.
영국의 외교관 토마스 로 경은 로드를 '매우 공정하고 부패하지 않으며... 정직한 드문 조언자'라고 평가했다. 반면, 케임브리지 대학교 명예 교수이자 엘리자베스 시대의 청교도 전문가인 패트릭 콜린슨은 로드를 "영국 교회에 닥친 가장 큰 재앙"이라고 비판했다.[15]
글로스터 킹스 스쿨과 레딩 스쿨은 그의 이름을 따서 신입생 부서를 로드 하우스로 명명했다. 찰스 1세의 어릿광대인 아치볼드 암스트롱은 "주님께 큰 찬양을, 악마에게는 작은 로드"라는 말장난을 하기도 했다.
3. 1. 현대적 관점
윌리엄 로드는 종교적 신념을 강요하고 다른 신념을 가진 사람들을 탄압했으며, 왕권신수설을 옹호하며 찰스 1세의 절대 왕정을 지지했다는 비판을 받는다.[33][34][4] 그의 정책은 잉글랜드 내전으로 이어지는 등 사회 분열과 갈등을 심화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10]3. 1. 1. 비판적 시각
로드는 자신의 종교적 신념을 강요하며 청교도를 비롯한 다른 신념을 가진 사람들을 탄압했다.[33] 청교도들은 코나 귀를 베이거나 채찍으로 맞고, 얼굴에 'SS'(선동 유포자)라는 낙인이 찍히는 형벌을 받았다.[33] 이러한 탄압으로 인해 1629년에서 1640년 사이에 약 2만 명의 청교도들이 뉴잉글랜드로 이주했다.[34]로드는 성실청이라는 법정을 이용하여 국교 양식에 따르지 않는 자들을 심문하고 박해했다.[34] 1637년 찰스 1세가 성공회 기도서를 스코틀랜드 장로교 예배에 사용하도록 강요하자 1638년 스코틀랜드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로드는 왕권신수설을 옹호하며 찰스 1세의 절대 왕정을 지지했다. 그는 의회를 불신하고 왕의 대권에 대한 침해를 막으려 했다.[4] 그의 강경한 입장은 1644년 재판에서 공격의 초점이 되었다.[4]
로드의 정책은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낳아 성공회를 반대하는 사람들의 지지를 얻게 되었다. 윌리엄 프린은 반역적 명예 훼손으로 유죄 판결을 받고 귀가 잘리고 얼굴에 낙인이 찍혔는데, 이는 대중의 불만을 샀다.[10] 1640년 5월에는 람베스 궁전 공격으로 이어졌다.[10]
로드는 잉글랜드 교회의 통일성을 강요했지만, 그의 방법은 다른 견해를 가진 사람들에게 박해로 여겨졌다. 그의 종교 정책은 잉글랜드 사회의 분열과 갈등을 심화시켰고, 결국 잉글랜드 내전으로 이어졌다.
참조
[1]
웹사이트
Alumni Oxonienses 1500-1714 Labdon-Ledsam
https://www.british-[...]
[2]
서적
A Companion to Stuart Britai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8
[3]
간행물
Bishop William Laud and the parliament of 1626
[4]
간행물
William Laud and the Parliamentary Politics of 1628–9
[5]
서적
The Political World of Thomas Wentworth, Earl of Strafford, 1621–164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6]
서적
The life of John Milton: narrated in connexion with the political, ecclesiastical, and literary history of his time
https://archive.org/[...]
Macmillan and co.
[7]
서적
English Constitutional Conflicts of the Seventeenth Century, 1603–1689
https://archive.org/[...]
CUP Archive
1928
[8]
서적
The Century of Revolution, 1603–1714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9]
서적
Governed By Opinion: Politics, Religion and the Dynamics of Communication in Stuart London
https://books.google[...]
I. B. Tauris
1997
[10]
간행물
"'This Infamous, Scandalous, Headless Insurrection': The Attack on William Laud and Lambeth Palace, May 1640, Revisited"
2024
[11]
서적
The Constitutional Documents of the Puritan Revolution 1625–1660
http://www.constitut[...]
Oxford University Press
[12]
ODNB
Richard Brandon, hangman and probable executioner of Charles I
2004
[13]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14]
웹사이트
William Laud, Archbishop of Canterbury, 1645
https://www.episcopa[...]
2022-07-19
[15]
서적
The Religion of Protestants: The Church in English Society 1559–1625
Oxford University Press
1984
[16]
문서
浜林、P75。
[17]
문서
松村、P410。
[18]
문서
塚田、P86 - P88。
[19]
문서
塚田、P88。
[20]
문서
塚田、P88 - P89。
[21]
문서
塚田、P72 - P73、P89 - P90。
[22]
문서
今井、P79 - P81。
[23]
문서
今井、P183、塚田、P90 - P92。
[24]
문서
浜林、P75 - P76、塚田、P92。
[25]
문서
浜林、P77 - P78、今井、P182 - P183、岩井、P42 - P46、P155。
[26]
문서
浜林、P77、今井、P183 - P184、塚田、P92、P97、P99。
[27]
문서
塚田、P93 - P97。
[28]
문서
今井、P185 - P186、塚田、P97 - P100、P183。
[29]
문서
トレヴェリアン、P125、塚田、P100 - P103、清水、P10 - P12、小泉、P8 - P9、P11、岩井、P90 - P97、P114 - P115、P156 - P157、P221。
[30]
문서
浜林、P89 - P91、トレヴェリアン、P129、塚田、P103 - P106、P124 - P126、P187、清水、P31 - P33。
[31]
문서
浜林、P89 - P91、P96、トレヴェリアン、P134、今井、P193、塚田、P106 - P107、P128 - P129、清水、P34、P37 - P39。
[32]
문서
ウェッジウッド、P413 - P416。
[33]
서적
청교도 역사
기독교문서선교회
2005
[34]
서적
청교도들은 누구인가
목회자료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